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CENTRALPHARM LIFE
  • [깨알지식] 유산균은 타이밍! 언제 먹는 것이 가장 좋을까?

  •   2022년 08월 26일

삭제하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안녕하세요.

센트럴 라이프 에디터, 파머입니다.


건강기능식품 중에서도 항상 스테디셀러를 차지하는 유산균. 유산균을 한 번도 드셔보지 않은 분은 흔치 않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 인기에 부응하듯 유산균에 대한 질문 역시 여기 저기에 넘쳐나는데요, 이에 맞춰 준비해본 오늘의 깨알지식, 유산균 먹기 좋은 시간. 간단하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유산균     


한국미생물학회에서 제공하는 네이버 미생물학백과에 따르면 유산균은 발효에 의해 생장하는 세균 중에서 발효 결과 유산을 주된 산물로 생산하는 세균을 뜻한다고 합니다. 크게 락토바실러스, 비피도박테리움으로 분류됩니다.

유산균은 미생물 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미생물군의 하나로, 유산균에 의한 대표적인 발효식품에는 김치, 요거트, 치즈 등이 있습니다.


또한 유산균 증식 및 유해균 억제・배변활동 원활・장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능성을 갖춘 ‘프로바이오틱스’로도 잘 알려져 있어 건강기능식품에도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단, 건강기능식품으로서 기능성분의 함량은 생균을 100,000,000 CFU/g 이상 함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2. 유산균 먹기 좋은 시간    


사람마다 식습관, 생활환경, 체질이 제각각이라 최적의 시간을 정해두는 것엔 어려움이 있습니다. 단, 유산균을 섭취하기 좋은 시간은 보통 ‘아침 식사 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Tompkins, Thomas A. et al. “The impact of meals on a probiotic during transit through a model of the human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Beneficial microbes 2 4 (2011): 295-303 .


위 이미지는 오트밀 우유죽을 먹기 전, 먹는 중, 30분 이후에 유산균을 섭취했을 시 위, 십이지장에서 락토바실러스 균주가 얼마나 생존하느냐를 보여주는 논문 자료입니다.


해당 연구에서 락토바실러스 균주는 식전 섭취했을 때 전체적인 생존률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며, 락토바실러스 균주 외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균주 역시 비슷한 양상을 띱니다.  유산균은 산도가 높은 환경에서는 생존이 어렵기 때문에 위산의 분비가 비교적 적은 아침 공복 시간대를 추천 드리는 것이죠.

공복에도 위에 소량의 위산이 남아있으니 물 한잔을 먼저 마시고 위산을 중화시킨 뒤 섭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고 합니다.


또한, 속쓰림으로 공복 섭취가 어려우시다면 음식물로 위장이 보호되도록 아침, 저녁 식후에 드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지금까지 유산균 먹는 시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무엇보다 장내 유익균의 정착을 위해서는 유산균의 규칙적인 섭취, 영양성분의 고른 섭취가 동반되어야 한다는 점을 기억해주시기를 바라며 오늘의 글을 마치겠습니다.


센트럴팜 영양 매거진은 다음 시간에도 더욱 알찬 소식으로 찾아뵙겠습니다. 지금까지 센트럴팜의 에디터 파머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콘텐츠는 특정 제품의 효능 및 효과에 대한 내용이 아닌, 유산균에 대한 건강정보입니다.


[참고문헌]


· ‘임채연, 윤성원(2019.12.07), [1분 Q&A] 유산균은 하루 중 언제 먹는 것이 좋은가요?, 하이닥 헬시라이프 뉴스’, https://www.hidoc.co.kr/healthstory/news/C0000486412


·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 고시전문(식약처 고시 제2022-25호 2022.3.31.)


· 데이비드 펄머터(2016), 『장내 세균 혁명』, P.50


· Tompkins, Thomas A. et al. “The impact of meals on a probiotic during transit through a model of the human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Beneficial microbes 2 4 (2011): 295-303



댓글 수정
취소 수정